1. 용어
1) 전압: 전기의 압력
2) 전류: 전하의 흐름
2. 저압, 고압, 특고압
직류 | 교류 | |
저압 | 1,500v 이하 | 1,000v 이하 |
고압 | 1,500v 초과 7,000v이하 | 1,000v 초과 7,000v이하 |
특고압 | 7,000v 초과 | 7,000v 초과 |
3. 직류(D.C)
- 건전지, 발전기
- 조절 용이
- 송전시 에너지 소모 크다
4. 교류(A.C)
- 가정용 220v 공급
- 조절 어렵다
- 송전시 에너지 소모 작다
- 1주기 = 60Hz/초로 진동
5. 기계
- 전압계: 전압 측정 → 저항이 크기 때문에 병렬 연결
- 전류계: 전류 세기 측정 → 미세한 전류 측정을 위해 직렬 연결
- 변압기: 전기 압력 변경 (22,900v → 220v / 380v)
6. (교류)역률(사용률)
- 유효전력 / 피상전력 = 1이하 값
- 피상전력: 일정 계약전력 하에서 얼마나 사용하는지 모름 = 유효전력 + 무효전력
- 역률 개선 방안: 콘덴서(capacitor) 사용, 역률값을 1로, 무효전력 작게
7. 저항
- R = 고유저항 x 전선의길이 / 전선의 단면적(굵기)
8. 수변전 설비
1) 수변전실의 배전반에서 각 세대(전등/전열)의 분전반에 배전(나누어줌)
- 간선: 배전반~분전반의 전선
- 분기회로: 분전반 ~ 전등/전열의 전선
2) 큐비클
3) 60제곱미터에 3kw 공급 + 10제곱미터 추가마다 0.5kw 공급
- 90제곱미터 = 3 + 1.5 = 4.5kw
9. 변압기 용량 산출
1) 수용률 = 최대수용전력 / 부하설비용량 x 100
= 설비 동시 사용 정도
2) 부등률 = 각 부하의 최대 수용 전력 합 / 합성최대수용전력
= 최대수용전력 발생 시간이 다른 정도
3) 부하율 = 평균수용전력 / 최대수용전력 x 100
= 실제 사용되는 전력의 양
10. 수변전실 설치
- 불연재료, 방화문, 냉각장치(고온x), 제습장치(습기x) 설치
11. 배전방식
1) 단상2선식
2) 3상4선식(220v 380v를 동시에 사용) 3상=R,S,V / 4선=R,S,V,가운데(중성선)
- R, S, V는 중성선과 연결하면 220v
- R, S, V를 동시 연결하면 380v
- 모든 가정에 중성선은 반드시 연결 & R, S, V 중 한가지 연결 = 220v
- 승강기 기계, 지하펌프 등은 R, S, V 모두 연결 = 380v
- R, S, V에서 가정의 분전반에 연결하는 선 = 간선
12. 간선의 종류
나뭇가지식 굵은 전선에서 개별 간선 연결 |
개별식(평행) 배전반에서 개별 연결 |
병용식 | |
전압강화 | 크다 | 작다 | |
사고시 피해범위 | 크다 | 작다(끊어진 곳만 문제) | |
설비비 | 저렴 | 고가 | |
건물규모 | 소규모 | 대규모 |
13. 점멸기
1) 타임스위치: 일정시간 후 소등
2) 오토매틱스위치: 주변 조도에 따라 자동 점멸
3) 마그네틱 스위치: 전동기 제어용 스위치
4) 3로 스위치: 계단실, 긴복도, 2개 이상이 점등/소등
'궁금해 > 주택관리사 관리실무, 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설개론) 미장공사, 타일공사, 덧먹임, 라스먹임, 러프코트, 리신바름, 규준바름, 손질바름, 실러바름, 무유타일, 수유타일 (0) | 2023.07.01 |
---|---|
(시설개론) 조명설비, 광도, 광속 (0) | 2023.06.29 |
(시설개론) 난방설비, 증기난방, 온수난방, 복사난방, 보일러, 방열기트랩, 공기빼기밸브, 냉각테, 보일러의 출력 (0) | 2023.06.29 |
(시설개론) 급탕설비, 순간온수기, 저탕형 탕비기, 기수혼합식, 직접가열, 간접가열, 리버스리턴방식 (0) | 2023.06.29 |
(시설개론) 아스팔트 방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아스팔트 루핑, 펠트, 프라이머, 컴파운드, 개량아스팔트, 시멘트액체방수 (0) | 202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