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 국가전문자격증

궁금해/주택관리사 관리실무, 시설개론

(시설개론)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특징, 철근, 항복강도, 피복두께, 배근위치, 정착위치

프로공부선수 2023. 6. 28. 20:20
728x90
반응형

1. 철근콘크리트구조

  1) 철근: 인장력

  2) 콘크리트: 압축력

 

2. 장점

  1)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우수 → 일체화 → 내구성

  2)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팽창률은 거의 같다 → 일체화 

  3) 철근의 뼈대강성 → 내진성, 내풍성

  4) 알칼리성의 콘크리트로 피복 → 철근의 부식 방지, 내화성 증가

  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타설 후 28일 경과 시점에 설계기준 압축강도 측정

 

3. 단점

  1) 자중ㅊ(2,400kg/㎥)이 크다.

     → 초고층 건물에 사용할 수 없다.

     → span, 경간이 작다 → 공간 활용 어렵다.

  2) 습식 건물: 동절기 공사 어렵다. → 공기가 길다.

  3) 균질한 시공 어렵다.

 

4. 철근의 종류

  1) 원형철근: ∮9, ∮12, ∮15 

  2) 이형철근(deformed bar): D10, D13, D16

  3) 고장력철근: HD

  4) 나선철근: 원형기둥

  5) 스터럽(stirrup): 보의 주근을 둘러싸고 직각이 되게 설치한 보강근 →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에 저항

 

 

5. 갈고리의 설치

  1) 설치이유: 부착력 증가, 원형철근 반드시 설치

  2) 주근, 축방향철근 굽힘각도: 90도, 180도

  3) 늑근, 띠근 굽힘각도: 90도, 135도

 

6. 철근의 가공(굽힘, 절단)

  1) 상온에서 가공

  2) 가열 가공금지

  3) 염해 방지

 

7. 철근의 항복강도

  1) SD400: 이형철근 항복강도 MPa = N/㎟

  2) 항복강도: 원상태 회복 가능 최대강도 → 변형율은 탄성영역

  3) 인장강도: 절단 시점 최대강도 → 변형율은 소성영역

 

8. 철근간격, 피복두께

  1) 철근간격 = Max(25mm, 철근 공칭지름 이상)

  2) 피복두께: 내화성, 부착력, 콘크리트 유동성확보

 

9. 철근의 이음

  1) 겹침이음

     - D35초과하는 경우 겹침이음 금지 → 자갈 이동 공간 확보

  2) 맞댄이음:

     - 용접, 기계적 이음

     - 설계기준 항복강도 125%

 

10. 철근의 배근위치

배근위치
보의 중앙부 하단
보의 단부 상단

 

11. 철근의 정착위치

부재 정착위치
기둥 기초판
큰보 기둥
작은보 큰보
교차보(보 아래에 기둥 없음) 보 상호간
벽의 위
벽의 아래 바닥(slab)
벽의 옆 기둥
바닥(slab) 보, 벽
지중보 기초판, 기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