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볼트의 특징
1) 접합성능이 낮아 임시건물, 소형건물에 사용
2) 나사산이 최소 3개 이상 노출
고장력 볼트의 특징
1) 항복강도 700 MPa 이상, 인장강도 900 MPa 이상의 볼트(높은 인장력) → 판 사이의 마찰 접합
2) 와셔: 볼트1, 너트1
3) 볼트 조임 검사기기: 토크렌치와 축력계의 허용 오차 3%
4) 고장력볼트 끼움작업: 1차조임(표준볼트장력의 60%) → 본조임
토크전단형(Torque shear) 고장력볼트
1) 항복강도 900 MPa 이상, 인장강도 1,000 MPa 이상
2) 와셔: 너트1
3) 완전히 체결되면 핀테일이 탈락함
용접용어
1) 스패터(spatter): 용접에서 발생된 슬랙 입자가 흩뿌려진 것
2) 비드(bead): 용접으로 연결된 부분
3) 밀스케일 (mill scale): 녹
4) 슬랙(slag): 찌꺼기, 용접불똥
5) 그루브(groove): 부재 단면을 비스듬하게 절단한 후, 그 사이를 채워넣는 용접
6) 필렛(fillet): 두 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접합하는 용접
7) 플럭스: 용접봉에 붙은 가루
8) 엔드탭: 크레이터 제거 목적으로 부재에 덧댄 철판
9) 가우징: 홈을 파는 것
10) 언더컷: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빈 것
11) 오버랩: 용접금속이 융합되지 않고 단순 겹쳐진 것
12) 블로우홀: 용융금속이 응고될 때 방출되어야 할 가스가 남아 생기는 내부의 빈 공간
13) 피트: 공기구멍으로 인한 표면의 기포
14) 허니콤빔: H형강의 웨브를 지그재그로 잘라 육각형의 구멍이 생기도록 용접 한 보
15) 크랙: 균열
16) 용접온점(fish eye): 수소(H)로 인한 형상 불량
17) 밀시트: 품질보증서
용접 예열 기준
1) 탄소당량 0.44% 초과하는 경우
2) 최고 경도 370 초과하는 경우
3) 표면온도 0도 이하인 경우
용접 예열 목적
1) 용접부 불순물 제거
2) 균열 방지
3) 강도 증가
용접 예열 방법
1) 전기저항 (*참고: 퍼커션용접)
2) 버너(직접 가열 금지)
용접 주의사항
1) 영하 20도 이하 용접금지
용접 응력
1) 용접 후 고장력 볼트: 용접이 다 받음
2) 고장력 볼트 후 용접: 나누어 받음
'궁금해 > 주택관리사 관리실무, 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설개론) LPG와 LNG (0) | 2023.07.05 |
---|---|
(시설개론) 창호공사, 유리공사, 문의 종류, 힌지의 종류, 유리의 종류, 로이유리, 강화유리, 배강유리 (0) | 2023.07.02 |
(시설개론)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 (2) | 2023.07.01 |
(시설개론) 도시가스사업법, 계량기, 배관, 압력조정기, 시설기준, 기술기준, 검사기준 (0) | 2023.07.01 |
(시설개론) 미장공사, 타일공사, 덧먹임, 라스먹임, 러프코트, 리신바름, 규준바름, 손질바름, 실러바름, 무유타일, 수유타일 (0) | 2023.07.01 |